디지털 세상

지상파 HD방송 MMS 서비스 이야기

pinetree79 2022. 12. 2. 23:03
728x90

UHD MMS 이야기 쓴 김에 마지막으로 HD MMS 이야기까지...

 

우리나라 디지털 방송은 표준화질의 2005년 SD 개국에서 2012년 100% HD 전환 이어 2017년 UHD 개국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HD부터 지상파 방송은 MMS를 도입하려 했다. 당연히 SO나 IPTV 업계에서는 이런저런 악의적인 언론플레이를 이용해서 MMS 도입을 막았다. 

이유는 아날로그 지상파와는 달리 디지털 지상파방송은 간단한 실내 안테나 수준으로도 깨끗한 방송 수신이 가능하고 MMS까지 활성화된다면 지상파의 대체제로 성장한 SO와 IPTV의 위상이 다시 보완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여러차례 MMS 시험 테스트 이후 MMS 서비스 도입 논의가 사라졌다가 지상파 3사가 아닌 EBS가 HD MMS를 첫 도입하여 EBS2가 시험방송 형태로 개국하게 되었다.

 

내 방의 HDTV에서 안테나 직수신으로 확인하는 방송 안내 화면

채널 10-1 EBS1과 채널 10-2 EBS2를 확인할 수 있다.

채널 9-1 KBS1과 채널 11-1 MBC가 두 개로 나오는 이유는 강릉 괘방산송신소와 평창 대관령중계소에서 송출하는 신호 2가지가 다 안테나에 수신되기 때문이다. 다른 의미로는 두 송신소와 중계소에서는 각각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는 뜻

 

하여튼 방송 수신에 사용한 안테나는 이번에도 역시 스펙트럼통신기술의 실내용 안테나 HD-mini, 수신 이득은 3dB. 우리 집이 나름 강전계 지역이라 3dB만으로도 충분하다. 1.5dB만 되어도 충분할 듯

EBS1 화면...해상도 1080i로 수신됨. 지상파 표준 HD 화질

EBS2 화면...해상도 720p로 수신됨. 일반적인 HD 1080i에 비해 약간 해상도가 떨어지지만 HDTV에서 웬만큼 민감한 눈을 가지거나 이 쪽으로 지식이 있는 이가 아니라면 그 화질 차를 거의 못 느낀다.

기본 원리는 UHD MMS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

더 알고 싶다면 지난 글 참조

https://hrk307.tistory.com/16

 

지상파 UHD방송 MMS 서비스 이야기

지상파 UHD 직접 수신 관련 글 쓰다가 MMS(다채널서비스) 이야기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MMS의 의미는? 당연히 문자메시지 이야기가 아니다. MMS는 Multi Mode Service의 약자로 지상파방송에서 서비스하

hrk307.tistory.com

미국이나 영국 등의 선진국들은 MMS를 상당히 활성화해서 채널 수를 늘려서 다양한 시청자 무상복지를 구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지상파 직접 수신과 MMS를 활성화해서 시청자 복지를 구현해야 하는데 이 나라 현실은 할많하않일세.....

728x90